꾸준하고 즐겁게
Symbolic link와 Hard link를 만드는 ln 명령어 사용법 본문
사진 크기가 좀 일정하지 않을 수 있다.
먼저 헷갈리지 않게 테스트용 디렉토리를 만들어 주었다.

그리고 그 디렉토리로 이동한 다음에, vim 텍스트 편집기로 hard link의 원본이 될 오리지널 파일을 만들어준다.

대충 구분이 가게 내용을 적어준다.

같은 방법으로 symbolic link의 원본이 될 파일도 하나 만들어준다.

영어 문법이 틀려도 구분만 가능하면 괜찮을 것이다.

그리고 ls 명령어로 한 번 확인해준다.

이제 hard link 파일을 하나 만들어본다.
ln [원본이 될 파일명] [hard link 파일 이름] 으로 입력하면 된다.
개인적으로 ln 명령어 쓸 때 원본 이름이 먼저인지 새로운 파일 이름이 먼저인지 헷갈려서 엄청 집중하고 쓴다.

ls 명령어로 파일이 잘 만들어졌는지만 대충 한 번 확인해준다.

그리고 symbolic link 파일도 만들어준다.
ln -s [원본이 될 파일명] [hard link 파일 이름] 으로 입력하면 된다.

이제 ls -il 명령어로 제대로 확인해준다.
특이점들을 찾을 수 있다.
각 줄 맨 앞에 나오는 inode 번호들부터 본다.
hardlink 파일과 hardlinkorigin 파일의 번호가 같다.
두 파일이 메모리의 같은 데이터블럭을 가리키고 있다는 걸 알 수 있다.
그리고 숫자 옆에 나오는 알파벳 꼬챙이는, 파일 형식과 권한을 의미한다.
맨 앞글자가 파일의 형식을 의미하는데, -는 일반파일, l은 링크파일이다.
symbolic link 파일은 링크 파일임을 확인할 수 있다.
링크 파일이라는 걸 확인할 수 있는 부분은 이 부분 말고도 또 있다.
일단 글자 색이 다르다.(글자색으로 구분하는 건 GUI 환경에서만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 표시를 보면 누가 봐도 다른 파일을 가리키고 있다는 걸 알 수 있다.

자, 이번에는 링크 파일들을 이미 가리키고 있는 파일과 다른 오리지널 파일을 가리키도록 한다.
이미 만들어진 hard link파일을 다른 오리지널 파일의 hard link 파일로 바꿀 때는,
ln -f [새로 가리킬 파일명] [hard link 파일 이름] 으로 명령어를 입력한다.

다음은 symbolic link 파일이 다른 파일을 가리키도록 한다.
이미 만들어진 symbolic link파일이 다른 오리지널 파일을 가리키게 할 때는,
ln -sf [새로 가리킬 파일명] [symbolic link 파일 이름] 으로 명령어를 입력한다.


cat 명령어로 전부 화면에 출력해보면... 이렇게 된다.
hardlink 파일이 symboliclinkorigin 을 가리키게 되어, symboliclinkorigin 파일의 내용을 보여주고 있다.
symboliclink파일은 반대로 hardlinkorigin 파일의 내용을 보여주고 있다.
개족보가 완성되었다.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눅스 마스터 2급 기출 문제를 풀어보았다 - 4 (마지막) (0) | 2021.05.13 |
---|---|
리눅스 마스터 2급 기출 문제를 풀어보았다 - 3 (0) | 2021.05.13 |
리눅스 마스터 2급 기출 문제를 풀어보았다 - 2 (1) | 2021.05.13 |
리눅스 마스터 2급 기출 문제를 풀어보았다 - 1 (0) | 2021.05.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