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Cloud Computing (2)
꾸준하고 즐겁게

이전 글에서 Cloud service에 대해 얘기해보았다. 이번 글에서는 직접 AWS에 ec2 서버를 만들어보고, ssh 프로토콜로 접속해보겠다. 1. 먼저 AWS에 로그인을 한다. 따로 이미지를 첨부하지는 않았다. 2. ec2를 누른다. 3. 서버를 만드는데, 가급적 우리나라로 만든다. 그래야 빠르다. 4. 인스턴스 시작을 누른다. 5. AMI를 선택한다. Ubuntu Server 18.04 LTS, 64비트로 선택했다. 6. 공부할 목적으로 가볍게 사용한다면 프리티어를 사용을 추천한다. 다음 버튼을 누른다. 7. Auto scaling은 트래픽이 너무 많이 몰리면 어떻게 대처할지 정해주는 것이다. 따로 설정을 건드리지는 않고 다음으로 넘어갔다. 8. 원래 8로 되어있는 스토리지의 용량을 가급적 높여주..

On-premise에 대해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회사 내부에 서버를 구입하고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것이다. 서버 안에 OS부터 설치하고 OS위에 아파치, 톰캣, 제우스 등의 Webserver software를 설치했다. 포트는 80으로 들어오고, 프로토콜은 HTTP, HTTPS를 사용했다. 그리고 그 위에서 돌아갈 프로그램의 코드를 짜야하는데, 코드를 짜기 위해서는 언어가 필요하고, 언어에는 Java나 Python 등 또 여러가지가 있다. 서비스를 한다. 많은 사람들이 이용하여 트래픽이 몰리게 되면 기존 서버의 CPU, Memory, 하드디스크의 용량을 늘려야한다. 이것을 Scale up이라고 한다. 혹은 서버를 더 구입해서 똑같은 서버를 더 만들어야한다. 후자의 경우 접속이 몰리면 서버 여러 대에 ..